MAC 계층은 물리적으로 매체의 연결 방식을 제어하고 물리 계층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단위는 프레임으로 이더넷 헤더 + IP 헤더 + TCP 헤더 + 응용 헤더 + User Data + 트레일러로 구성
OSI 7계층 중 데이터링크 계층의 프로토콜이자 TCT/IP 4계층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층의 프로토콜 이다.
Ethernet
이더넷 프레임의 캡슐화 과정에서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가 추가 된다.
역캡슐화 시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가 제거된다.
이더넷 프레임의 이더넷 헤더에는 목적지 MAC주소(6Byte), 출발지 MAC 주소(6Byte), 타입(2Byte)이 포함 되어 있다.
트레일러에는 FSC(Frame Check Sequence) 오류가 발생하는지 체크하는 용도로 사용
이더넷 프레임 (64 ~ 1518 바이트의 범위)
이더넷 헤더의 타입(타입 코드는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 종류를 구분해주는 역할)
16진수로 표기 한다.
이더넷에서 인터페이스를 특정하기 위한 48bit의 물리적인 주소(하드웨어 주소)
이더넷 헤더
목적지 MAC 주소 + 출발지 MAC 주소 + 타입
6Byte (48Bit) + 6Byte (48Biy) + 2Byte
두대 이상의 PC가 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 MAC가 필요하며 스위치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MAC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MAC 주소 테이블을 이용한다.
데이터의 전송 과정에서 출발지와 목적지 등을 식별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스위치 동작
반이중 통신: 데이터의 송수신을 ‘번갈아가며’ 하는 방식 (초기의 이더넷은 반이중 통신)
전이중 통신: 데이터의 송수신을 ‘동시에’ 하는 방식(현재의 이더넷을 전이중 통신)
IEEE 802.3의 표준
유선 이더넷 랜에서 사용
케이블의 사용중인지 감지 트래픽이 없을 경우 데이터 전송
데이터 전송시 출동이 감지 될 경우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고 랜덤 시간 동안 대기 후 데이터를 다시 전송
CS(Carrier Sense): 통신회선이 사용 중인가?
MA(Multiple Access): 통신 회선이 비어있는가?
CD(Collision Detection): 충돌을 감지 하였는가?
4. 네트워크 계층(3) (0) | 2023.07.25 |
---|---|
4. 네트워크 계층(2) (0) | 2023.07.24 |
4. 네트워크 계층(1) (0) | 2023.07.21 |
2. 물리 계층 (0) | 2023.07.19 |
1. 네트워크 개요 (0) | 2023.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