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알고리즘 - 재귀
재귀 어떠한 것을 정의할 때 자기 자신을 참조하는 것을 말한다. 재귀 함수는 기저조건(종료되는 조건)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기저조건이 없는 재귀함수를 실행하면 메모리 부족으로 함수가 강제 종료 된다. 재귀함수 내에서 자기자신을 호출할 때 이미 이 함수 구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하향식 계산에 사용된다. 콜스택 함수가 호출되면서 올라가는 메모리 영역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나중에 나간다. 스택 자료구조를 잘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 팩토리얼 - n이 주어졌을때 1부터 n까지 모든 수의 곱을 말한다. 5! 와 같이 작성 한다. 배열의 합 (재귀적으로 구하기 하향식 방법) [1, 2, 3, 4, 5]의 배열의 합을 구할 때 하위문제의 결과는 [1, 2, 3, 4]의 배열의 합이고 이 배열의 합에 5를 더하면 된다..
CS전공 지식/2.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2023. 7. 14. 2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