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 가장 많이 사용하는 IGP(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링크 상태 알고리즘 및 광고 기법 사용 → OSPF메세지를 주고 받으며 링크 상태 DB 갱신
- Dijkstra 알고리즘으로 최적의 경로 계산: 특정 노드에서 다른 모든 노드로 가는 최단경로를 알려줌
- 신속한 경로 갱신
- 계층적 구조
라우팅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여러 영역으로 나눈다.
백본 영역- 다른 AS와 연결을 담당
- 경계 라우터- 한 AS의 최전방에 위치하여 다른 AS와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역할
- 백본 라우터- 백본 영역에 존재하는 라우터로 다른 영역경계 라우터와 연결
- 영역경계 라우터- 영역의 경계에 위치한 라우터로 라우팅 정보를 요약하여 백본 라우터와 연결
OSPF 프로토콜을 캡슐화를 통해 메세지를 전송하면 동작
OSPF 캡슐화
이웃 라우터로부터 전달 받은 링크 상태 광고를 통해 링크 상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이를 Dijkstra 알고리즘을 통해서 라우팅 테이블을 생성한다.
Dijkstra 알고리즘
9. NAT(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
IP 주소
- 공인 IP주소
- A클래스
- 0.0.0.0 ~ 9.255.255.255
- 11.0.0.0 ~ 126.255.255.255
- B클래스
- 128.0.0.0 ~ 172.15.255.255
- 172.32.0.0 ~ 191.255.255.255
- C클래스
- 192.0.0.0 ~ 192.167.255.255
- 192.169.0.0 ~ 223.255.255.255
- 사설 IP 주소
- A클래스
- 10.0.0.0 ~ 10.255.255.255
- B클래스
- 172.16.0.0 ~ 172.31.255.255
- C클래스
- 192.168.0.0 ~ 192.168.255.255
사설 IP는 중복 될 수 있지만 공인 IP는 중복되면 안된다.
인터넷 접속을 위해서 사설 IP 주소에서 공인IP 주소로 변환
NAT
사설 네트워크에서 인터넷(공용 네트워크)으로 통신하게 해주는 프로토콜
요청시 IP헤더의 출발지 사설IP주소를 출발지 공인IP주소로 변경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