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정해진 규칙
통신에 필요한 형식, 약속, 규약, 규칙
사용자를 제한하는 가정 내 네트워크, 회사 네트워크
사설 IP 사용
A클래스: 10.0.0.0~10.255.255.255
B클래스: 172.16.0.0 ~ 172.31.255.255
C클래스: 192.168.0.0 ~ 192.168.255.255
공인(공용,인터넷) IP 사용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사용
A클래스: 0.0.0.0 ~9.255.255.255
11.0.0.0~126.255.255.255
B클래스: 128.0.0.0~172.15.255.255
172.32.0.0~191.255.255.255
C클래스: 192.0.0.0~192.167.255.255
192.169.0.0~223.255.255.255
인터넷 접속을 위해서는 반드시 공인IP 필요
공인 IP 주소는 겹치지 않게 관리된다.
NAT를 사용하여 사설IP를 공인 IP로 변환하여 인터넷에 접속
OSI모델 (7계층)
데이터를 상위 또는 하위 단계로 보내면서 ‘캡슐화’, ‘역캡슐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캡슐화: 데이터를 보낼 때 헤더에 목적지IP와 출발지IP, 에러 체크 등 필요한 정보를 담아서 보내는 것
역캡슐화: 데이터를 보낼 때 헤더를 제거 하고 보내는 것
OSI모델 (7계층) | PDU(Protocol Data Unit) 각 계층에서 동작하는 데이터의 단위 |
응용 계층 | 응용헤더+User Data(메시지 혹은 데이터) |
표현 계층 | |
세션 계층 | |
전송 계층 | TCT헤더+응용헤더+User Data(TCP 세그먼트) |
네트워크 계층 | IP헤더+TCT헤더+응용헤더+User Data(IP 패킷) |
데이터 링크 계층 | 이더넷 헤더+IP헤더+TCT헤더+응용헤더+User Data+트레일러(이더넷 프레임) |
물리 계층 |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내려가면 캡슐화가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올라가면 역캡슐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4. 네트워크 계층(3) (0) | 2023.07.25 |
---|---|
4. 네트워크 계층(2) (0) | 2023.07.24 |
4. 네트워크 계층(1) (0) | 2023.07.21 |
3. 데이터 링크 계층 (0) | 2023.07.21 |
2. 물리 계층 (0) | 2023.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