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M - 1차 메모리
SSD, HDD - 2차 메모리
메모리 1byte당 일련번호(주소)가 주어지고 이 일련번호를 나타낼 수 있는 숫자가 32bit로 표현 할 수 있다면 36bit , 64bit로 일련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면 64bit 시스템 이다.
CPU 64bit, OS 64bit = 64bit 플랫폼 = 이론상 16EB(1048576TB) 메모리 지만 현재 윈도우 서버 기준 최대 24TB 지원
메모리관리자(MMU)
배치정책
가져온 프로세스를 제한된 메모리의 어떤 위치에 놓을지 정하는 정책
메모리를 같은 크기로 자르는 것을 paging
프로세스의 크기에 맞게 자르는 것을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이라고 한다.
세그먼트 - 서로다른 크기라는 의미로 커널-스택-공유라이브러리-힙-BSS-데이터-코드 등 서로 다른 크기로 분할 되어 있다.

절대 주소: 운영체제 영역을 포함한 주소
전역변수는 절대 주소 사용
상대 주소: 운영체제 영역을 제외한 주소(주로 가상 메모리에 사용)
지역변수는 상대 주소 사용

프로그램의 크기가 실제 메모리(물리 메모리)보다 클 때 전체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가져오는 대신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가져오는 기법(메모리 오버레이를 사용하면 물리 메모리보다 더 큰 프로그램도 실행이 가능)

RAM + 스왑 영역 =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최대 절전 모드 - RAM에 저장된 정보를 스왑 아웃하여 하드디스크의 스왑 영역에 저장 후 절전 모드 해제 시 스왑 인 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가변 분할 방식 장점
가변 분할 방식 단점
| 10. 가상 메모리 개요 (0) | 2023.07.03 |
|---|---|
| 9. 절대 주소와 상대 주소 (0) | 2023.07.03 |
| 7. Process간 통신 / 공유 자원과 임계 구역 해결 방법 (0) | 2023.06.30 |
| 6. 멀티스레드와 동기화 기본 / CPU스케줄링 개요 (0) | 2023.06.29 |
| 5. 프로세스 생성과 복사 (0) | 2023.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