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에서 gitbash 를 실행 시켜서 콘솔창을 열어준다.
열린 콘솔창에 아래와 같이 입력해준다.
/c/Users/lhm0107/Downloads/lhm0107.pem는 내려받은 키 페어 파일 경로이다.
43.200.252.101 은 AWS서버의 개방 주소이다.
ssh -i /c/Users/lhm0107/Downloads/lhm0107.pem ubunt@43.200.252.101
yes or no 선택 화면이 나오면 yes 입력하여 서버에 접속한다.
# python3 -> python 파이썬 설치 명령어
sudo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python python /usr/bin/python3 10
# pip3 -> pip 파이썬 플러그인 설치 도구 설치를 위해 차례로 설치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python3-pip
sudo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pip pip /usr/bin/pip3 1
# port forwarding 포트 포워딩 (80포트로 들어오는 요청을 5000포트로 넘겨주는 명령어)
sudo iptables -t nat -A PREROUTING -i eth0 -p tcp --dport 80 -j REDIRECT --to-port 5000
서버가 준비되었으면 파일을 업로드 하기위해 FTP프로그램인 파일 질라를 실행 시킨다.
파일이 있는 폴더로 이동하고 사이트 관리자를 설정해준다.
서버에 폴더를 만들고 app.py , static폴더, templates 폴더를 복사해 준다.
이후 PC와 동일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파일을 옮겼으면 콘솔창에서 만들어진 폴더로 이동 후 프로젝트에 사용했던 파이썬 플러그인들(flask, pymongo, dnspython등)을 차례로 설치해준다.
설치가 완료되면 python app.py를 입력하여 서버를 실행 시킨다.
접속을 위해서는 AWS에서 아래와 같은 설정이 필요하다.
AWS에서 5000포트를 열어주기
일단, EC2 관리 콘솔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보안그룹(영문: Security Group)을 눌러 들어갑니다.
저장후 개방 IP와 5000번 포트를 같이 입력하여 정상 접속 확인 한다. 43.200.252.101:5000/
이후 sudo iptables -t nat -A PREROUTING -i eth0 -p tcp --dport 80 -j REDIRECT --to-port 5000 을 샐행 시켜주면 기본인 80포트를 자동으로 5000으로 포워딩 시켜 5000을 입력하지 않아도 정상 접속 된다.
프로젝트 서버에 올리기 (1. 서버 준비) (0) | 2023.05.16 |
---|---|
프로젝트 서버에 올리기 (3. 실제 사이트와 같이 운영하기) (0) | 2022.12.15 |
API GET방식 POST방식 연습 2 (0) | 2022.12.15 |
API GET방식, POST방식 연습 1 (0) | 2022.12.07 |
flask 서버 환경에서 API 만들기 (0) | 2022.12.05 |